google-site-verification=uyv4CDMp_CEQh7YmK_eSRQLCZeZs7cW8xFU-VYI59KM 디스크의 정의,종류,증상,치료 class="layout-aside-right paging-number">
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디스크의 정의,종류,증상,치료

by 솔솔부는맘 2025. 6. 3.
728x90

디스크의정의
디스크의정의

디스크의 정의

 

야외 활동이 늘면서 목디스크와 허리디스크 같은 근골격계 질환의 증상이 심해지는 분들이 많습니다. 일교차가 크고 활동량이 갑자기 늘어나 척추와 관절에 부담이 누적되기 쉽기 때문인데요.

디스크 질환은 부위에 따라 다양한 증상을 유발하므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한데요. 오늘은 디스크에 대해 자세히 설명드릴테니
목이나 허리에 통증이 느껴지는 분들은 꼭! 읽어 주세요.

종류


디스크 종류는 크게 목디스크와 허리 디스크로 나뉘는데요.

 

목디스크

 경추수핵탈출증이라고도 하며, 목뼈 조각들 사이에 있는 디스크 수핵이 빠져나와 신경근이나 척수를 누르는 질환입니다. 장시간 목 주변 근육과 인대에 가해진 압력으로 밀려나와 신경을 누르거나 해서 통증과 염증을 일으키는 것이죠.
 

 일반적으로 경성디스크와 연성디스크로 나뉩니다. 퇴행성 변화로 경추강이 좁아져 발생하는 경성디스크는 주로 50대 이상에서, 수핵과 섬유륜이 탈출되어 생기는 연성디스크는 젊은 층에서 많이 나타나고 있어요.

 

허리디스크 

 

 척추 뼈와 뼈 사이에서 충격을 흡수하는 디스크는 수핵과 섬유테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스프링처럼 완충 역할을 하는 디스크가 노화나 외부 자극으로 밀려 나오면서 주변 신경근을 자극해 통증을 유발하는 것이 바로 허리디스크입니다.

수핵의 수분 함량이 감소하면 탄력성이 떨어지면서 쉽게 손상되고, 자세 불량이나 갑작스러운 사고 등의 자극이 가해지면 더욱 악화될 수 있습니다.


증상

 

목디스크

 목을 움직일 때 뻐근함이나 어깨 통증이 나타나고, 팔과 손 저림, 원인 모를 두통 등을 동반합니다.

단순 목통증만으로는 진단이 어려우나 어깨통 등의 증상이 함께 있다면 목디스크를 의심해 볼 수 있죠.

일반적인 목디스크는 편측성으로 나타나 한쪽 팔이나 손에 국한된 증상을 보이는데요.
 

목디스크로 인한 팔다리 저림은 먹먹하면서도 정확한 통증부위를 찾기 어려운 게 특징이거든요. 

아픈 부위를 콕 짚어내지 못하는 경우가 많으시죠.

허리를 굽혔을 때 통증이 심해지고, 재채기나 기침, 배변 시에도 허리의 통증이 악화됩니다. 또한 서 있을 때보다
앉아있을 때 불편함이 더 크게 느껴진다면 허리디스크를 의심해볼 만합니다.
 

치료

 

목디스크

초기에는 약물치료, 온열치료, 심부초음파치료 등 보존적 치료를 진행하게 됩니다. 주사 치료는 보존적 치료로 호전이 되지 않는 경우 진행하게 되는데요. 신경성형술, 신경차단술​ 등이 있습니다. 신경성형술은 대표적인 비수술 치료 방법으로, 꼬리뼈 부위를 통해 미세한 카테터를 삽입해 염증 부위에 약물을 주입함으로써 신경 압박을 완화합니다. 신경차단술 역시 통증의 원인이 되는 신경에 약물을 주입해 통증을 차단하고 염증을 감소시키는 방법으로 통증 완화 효과가 뛰어나 환자들에게 큰 만족감을 제공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증상이 호전이 되지 않는다면 수술적인 치료를 진행하게 되는데요. 수술치료는 미세현미경 디스크제거술, 경추인공관절 치환술이 있습니다.

목디스크는 현대인에게 흔히 나타나는 질환이지만 생활 습관 개선과 정기적인 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항상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고 수시로 목 스트레칭을 해주세요. 컴퓨터를 사용할 때 모니터의 높이를 조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수면 시에는 편안한 베개를 사용하세요. 목디스크는 단순한 생활 습관의 문제로 간과하기 쉽지만, 제대로 관리하지 않을 경우 일상생활에 큰 지장을 줄 수 있습니다. 바른 자세를 유지하는 것만으로도 목디스크를 예방할 수 있는데요. 이미 증상이 나타났다면, 청담 튼튼 병원을 방문해 적절한 치료를 받아보시기를 바랍니다.

 

 

허리디스크

단계적으로 접근해요. 초반에는 약물치료, 물리치료, 주사치료 보존적 치료부터 시작합니다. 진통제나 근육이완제를 복용하거나,

물리치료실에서  전기자극요법을 받는 방식인데요. 호전이 가능해요. 이런 치료로 나아지지 않으면

시술적 치료나 수술을 고민해야 해요.

신경차단술이나 고주파 수핵감압술 같은 비수술적 시술이 나심 한 경우 절제술 또는 유합술 필요합니다.

 

추천하는 운동

수영 

물속에는 체중부하가 줄어들기 때문에 관절이나 디스크에 부담이 적어요

자유형아나 배형은 전신 근육을 발달시키는데 효과적이에요

걷기

유산소 운동으로 혈액순환ㅇㄹ 촉진하고 척추 기립근을 강화에 도움 돼요

 

 

728x90